12/31/2019

The Younger Edda - Foreword 1

서문(Foreword) 1.   태초에 전능하신 신이 하늘과 땅, 거기에 속한 모든 것들을 창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두 명의 인간을 만들었는데, 그들(아담과 하와)로부터 인류가 유래했고, 그들의 자식들은 늘어나서 온 세상으로 퍼져나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간은 균형을 잃었다; 어떤 이들은 선하고 올바른 것을 믿었지만, 더 많은 이들이 세상의 욕망을 쫓았으며, 신의 율법에 귀기울이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신은 세상을, 노아와 함께 방주에 올랐던 것들을 제외한 세상의 모든 살아있는 것들을 홍수로 물에 잠기게 하였다. 홍수 뒤에 세상에 살았었던 8명이 살아남았고, 이들로부터 인류는 이어졌다. 그리고, 또 예전처럼 수가 늘어나서 세상을 채웠다. 아주 많은 이들이 부와 권력을...

12/25/2019

The Younger Edda - Introduction 3

고에다가 오딘 신앙을 일련의 시와 광시곡으로 표현한 반면, 신에다는 체계화된 신의 계보와 우주론을 포함하고 있다. 고에다가 운문인 반면, 신에다는 주로 산문이다. 신에다는 어떤 의미로 고에다의 후속편 또는 주석으로 볼 수도 있다. 둘이 서로가 서로를 보완하고 있으며, 따라서 에시르 신앙의 포괄적 개념을 알기 위해 무용담들과 모든 튜톤의 전통, 설화와 연관지어 연구되어야 한다. 이 두 가지 에다는 마치 오딘의 성경 같다. 고에다가 구약, 신에다가 신약이다. 고에다는 구약성서처럼 시로 표현되었고, 예언적이며 수수께끼이다. 신에다는 신약성서처럼 산문이고; 명확하며, 고에다 속의 애매한 문장에 관한 실마리를 준다. 아니, 여러모로 두 가지 에다는 그리스도 성경의 두 가지 성서와 부합한다. 우리...

12/16/2019

The Younger Edda - Introduction 2

일반적으로 신에다의 저자로 생각되는 이는 스노리 스투를루슨(Snorre Sturleson)과 올라프 흐비타스칼드(Olaf Hvitaskald) 두 사람이며,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스노라 에다(Snorra Edda), 즉 스노리의 에다(Snorre’s Edda)라 부르고 있다. 이 복잡한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토론을 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산문 에다를 만드는데 역할을 했다고 믿는 사람들을 위하여 케위세르(Keyser) 등이 제시한 그 이유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신에다의 문법적 부분과 수사적 부분을 쓴 저자는, 하타탈(Hattatal (the Clavis Metrica)) 저자로 그리고 시 자체 뿐아니라 산문 안의 논문의 저자로 스노리S(norre)를 언급한다. 두 번째로, 아르나마그네안(Arne...

12/07/2019

The Younger Edda - Introduction 1

소개 (INTRODUCTION). 튜톤족의 과거 기록은 위대한 세상의 물푸레나무 위그드라실의 가지 중 영어권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우리의 영웅적 조상의 지식이 옛 튜톤인들의 그렇게 뛰어났던 용기와 진취적 기상, 독립 정신들을 우리와 우리의 후손들 사이에 살아남게 할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서 자연스레 작동할 것이기에, 이러한 무관심은 더욱 비통하게 느껴진다. 우리 조상의 종교는 우리 민족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장을 형성하며, 이 사실로 인해 우리는 에다의 영어 번역을 대중에게 제공하게 되었다. 고에다 중 순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