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INTRODUCTION).
튜톤족의 과거 기록은 위대한 세상의 물푸레나무 위그드라실의 가지 중 영어권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우리의 영웅적 조상의 지식이 옛 튜톤인들의 그렇게 뛰어났던 용기와 진취적 기상, 독립 정신들을 우리와 우리의 후손들 사이에 살아남게 할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서 자연스레 작동할 것이기에, 이러한 무관심은 더욱 비통하게 느껴진다.
우리 조상의 종교는 우리 민족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장을 형성하며, 이 사실로 인해 우리는 에다의 영어 번역을 대중에게 제공하게 되었다. 고에다 중 순수한 신화적 부분은 브리스틀(Bristol)에서 1797년 A.S. 코틀(A.S.Cottle)이 번역하였고, 전제 작품은 벤자민 쏘프(Benjamin Thorpe)가 번역하여 1866년 런던에서 발행하였다. 둘 다 지금은 절판되었다. 신에다도 마찬가지로 두 개의 영어번역본이 있다- 1842년 다센트(Dasent)가 처음으로, 1847년 블랙웰(Blackwell)이 말레(Mallet)의 "북유럽의 유물(Northern Antiquities)"을 편집하며 포함시킨 것이 그 두 번째이다.
(말레(Mallet)가 프랑스어로 쓴 "Introduction à L'histoire du Danemarch où l'on traite de la religion, des moeurs, des lois, et des usages des anciens Danois."를 주교 퍼시(Bishop Percy)가 영어로 번역하여 1770년 "Northern Antiquities"란 제목으로 처음 출판했고, 1847년 블랙웰이 편집, 재출판하면서 운문에다를 번역하여 첨가했다.) 전자는 지금 절판되었고, 후자는 다센트 판의 조악한 모조품일 뿐이다. 둘 다 매우 부족하다. 이 네 권이 우리가 영어로 가지고 있는 모든 에다 문학을 구성한다. 물론, 그레이(Gray), 헨더슨(Henderson), W. 테일러(W.Taylor), 허버트(Herbert), 재미슨(Jamieson), 피곳(Pigott), 윌리엄스(William), 메리 호위트(Mary Howitt) 외 몇몇 사람들이 하나의 시 혹은 하나의 장을 번역한 것을 제외하면 말이다.
우리가 지금 독자들에게 영어판을 발표하는 기쁨을 누리고 있는 신에다(또한 스노리의 에다(Snorre’s Edda), 산문에다(the Prose Edda)라고도 불린다.)는 일반적인 원본 출판처럼 다음과 같은 장으로 구성된다.
The Younger Edda (also called , or ), of which we now have the pleasure of presenting our readers an English version, contains, as usually published in the original, the following divisions:
1. 서문
2. 귈피의 속임수(Gylfaginning : The Fooling of Gylfe)
3. 귈피의 속임수 후기
4. 브라기의 대화(Brage’s Speech)
5. 후기
6. 스칼드스카파르말(Skaldskaparmal)(시어법:스칼드(음유시인)의 언어로 된 운문 장절과 명칭 모음)
7. 하타탈(Hattatal:Clavis Metrica) (운율 일람)
일부 판에서는 알파벳, 문법, 화법 등에 관한 6개의 추가 장도 발견된다.
신에다의 중요한 세 가지 양피지 필사본은 다음과 같다.
1.코덱스 레기우스(Codex Regius). 왕의 서(King's Book:
Konungsbók) . 주교 브뤼뇰푸르 스베인손(Brynjulf Sveinsson)이 1640년 코펜하겐(Copenhagen), 왕립도서관에 진상하였고, 아직도 그곳이 보관되어 있다.
(1971년 4월 21일 아이슬란드 레위캬비크로 반환되어 현재 아르니 마그누손 연구소에서 보관중이다)
2.코덱스 워르미아누스(Codex Wormianus). 코펜하겐 대학도서관. 아르나 마그네안(Arne Magnæan) 모음집에서 찾을 수 있다. 올레 워름 교수(Ole Worm:1654년 사망)의 이름을 땄는데, 학자 아릉그림 욘손(Arngrim Jonsson)이 그에게 선물했다. 올레 워름의 손자 크리스챤 워름(Christian Worm)과 시란드(Seeland)의 주교(1737년 사망)가 아르니 마그누손(Arne Magnusson)에게 선물하였다.
3. 코덱스 웁살리엔시스(Codex Upsaliensis). 이것은 웁살라(Upsala) 대학 도서관에 보관되어있다. 위의 두 책과 마찬가지로 아이슬랜드에서 발견되었으며, 존 루그만(Jon Rugmann)에게 주어졌다. 후에 마그누스 가브리엘 드 라 가르디에(Magnus Gabriel de la Gardie) 백작의 손에 들어 가게 되었고, 그는 1669년 웁살라 대학에 이를 기증했다. 이 세 개의 주요 자료 외에도 네 개의 단편적인 양피지 문서와 많은 양의 종이 필사본이 존재한다.
원어로 된 신에다 초판은 1665년 페테르 요하네스 라센(Peter Johannes Resen)이 발행한 그 유명한 “에다 이슬란도룸(Edda Islandorum),”이다. 라틴어로된 번역도 포함하고 있는데, 일부는 라센 자신이, 다른 일부는 마그누스 올라프손(Magnus Olafsson), 스테판 올라프손(Stephan Olafsson), 쏘르모드 토르파손(Thormod Torfason)이 만들었다.
80년이 지난 1746년에서야 요하네스 고란손(Johannes Goransson)의 후원으로 웁살라에서 신에다의 두 번째 판이 세상에 나왔다. 이 책은 코덱스 웁살리엔시스를 기본으로 인쇄되었다.
근세에 1818년 라스무스 라스크(Rasmus Rask)가 스톡홀름에서 세 번째 판을 발행했는데, 이것은 아주 온전하고 중요하다. 네 번째 판은 1849년 레위캬비크에서 스베인뵤른 에길손(Sveinbjorn Egilsson)이 발행했다; 다섯 번째 판은 1852년 1월 코펜하겐에서 아르나 마그네안(Arne-Magnæan) 위원회에서 발행했다[
1]. 이 다섯 판 모두 오래전 절판되었고, 그 자리는 쏠레이프 욘슨(Thorleif Jonsson)(코펜하겐, 1875)의 여섯 번째 판, 어니스트 윌킨(Ernst Wilkin)(파데르보른(Paderborn), 1877)의 일곱 번째 판이 차지했다. 이 두 가지 모두, 특히 후자는 대단히 중요하며 신뢰할 만하다.
그것들과 더불어, 번역판으로, 다센트(Dasent)의 영어판과 블랙웰 R. 뉘에루프(Blackwell, R. Nyerup)의 덴마크어판(코펜하겐, 1808); 카를 심로크(Karl Simrock)의 (스투트가르트Stuttgart와 튜빈겐Tübingen, 1851) 독일어판, FR. 베르그만(Fr. Bergmann, 파리, 1871)의 프랑스어판도 언급해야 할 것이다. 신에다 연구에서 조언을 받은 주요한 권위자 중에는 이미 언급된 이들 외에도, Fr. 디에트리흐(Fr. Dietrich), Th. 모비우스(Th.Mobius), Fr. 파이퍼(Fr.Pfeiffer), Ludw. 에트뮬러(Ludw.Ettmuller), K. 힐데브란드(K.Hildebrand), Ludw. 우란드(Ludw.Uhland), P. E. 뮬러(P.E.Muller), 아돌프 홀츠만(Adolf Holzmann), 소푸스 부게(Sophus Bugge), P. A. 문흐(P.A.Munch)와 루돌프 케위세르(Rudolph Keyser)도 있다. 우리의 소개문과 주석에 있는 자료는 주로 심록과 윌킨, 케위세르의 것을 이용하였다. 우리가 고유의 연구를 할 기회는 없지만, 발행된 작품들을 조심스럽게 연구하였고, 우리가 우리의 연구라 주장한 것은 모두 우리보다 우르드(Urd)와 미미르(Mimer)의 샘에 더 가까이 사는 학자들의 가장 최근이며 가장 철저한 조사 결과를 포함할 것이다. 우리는 에길손(Egilsson)과 욘손(Jonsson), 윌킨스(Wilkins)의 원문 편집본을 번역하였다. 하타탈(Hattatal)과 스칼드스카파르말(Skaldskaparmal)의 대화부분은 번역하지 않았지만, 우리 책이 지금까지 발행된 다른 어느 영어, 독일어, 불어 또는 덴마크 판 보다 더 많은 내용의 신에다로 구성되어있다. 생략된 부분은 아마도 원문으로 읽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흥미를 끌 수 없을 것이다. 에시르(asas)과 아쉬뉴르(asynjes), 세계, 땅, 해, 바람, 불, 여름, 사람, 전쟁, 무기, 배 황제, 왕, 통치자 등등에 대하여 바꿔 말한 것들은 옛 노르드 시의 구문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때나 흥미로울 것이다. 운율열람도 마찬가지 인데, 그 운율열람은 스칼드(Skald)음유시인들이 사용했던 그리고, 그들 시의 표본과 백개의 다른 운율로 쓰여진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e Sturleson)의 시로 설명되는 비유와 별칭을 포함하고 있다.
(스칼드(Skald:skáld) : 바이킹 시대부터 중세 까지 스칸디나비아 궁정에 소속된 궁정시인)
신에다를 누가 저술했는가에 대하여 많은 학문적 토론이 이어지고 있다. 이 까다로운 주제에 관심있는 독자들은 우리가 추천하는 윌킨스(Wilkins)의 수고가 담긴 논문 "Untersuchungen zur Snorra Edda (Paderborn, 1878)", 그리고 P. E. 뮬러(P. E. Muller)의 "Die Æchtheit der Asalehre (Copenhagen, 1811)"을 읽어보기 바란다.
그 작품과 밀접하에 연관되어 있는 유명한 두 이름은 의심할 바 없이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e Sturleson)과 올라프 쏘르다르손 흐비타스칼드(Olaf Thordsson Hvitaskald) 이다. 이 두 사람은 문학에서 뿐만아니라 아이슬란드 정치 역사에서도 두드러진다.
|
Snorri Sturluson by Christian Krohg
[Public Domain], Link |
스노리 스투를루손(Snorre Sturleson)[
2]는 1178년 아이슬란드에서 태어났다. 세 살 때, 오디(Odde)에 있는, 현자 세문드(Sæmund the Wise : 그 유명한 고에다의 수집가) 손자이며, 저명한 장관인 존 로프스손(Jon Loptsson)의 집으로 오게 된다. 그는 1197년 존 로프트손(Jon Loptsson)이 사망할 때까지 거기서 지내게 된다. 이후 곧 스노리는 부유한 집안과 결혼하고, 곧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저명한 지도자 중의 하나가 된다. 그는 최고 행정관에 여러 번 선출되었으며, 그 나라에서 그와 동등한 부와 명성을 누리는 사람이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와 그의 두 형 쏘르드(Thord)와 시그바트(Sighvat), 그들은 스노리와 비교해도 부와 권력에 크게 뒤지지 않았는데, 그들은 아이슬란드에서 한 때 거의 최고의 지위를 누렸다. 스노리는 가끔 800에서 900 명의 무장한 사람들을 동반하고, 씽볼스(Thingvols), 알씽그(Althing:아이슬란드 입법부)에 나타나곤 했다.
(예전에 지어진 책이라 고에다의 저자를 세문드라 칭하고 있는데, 지금은 부정되고 있는 주장이다.)
스노리(Snorre)와 그의 형제들은 다른 가족들과 심한 반목을 겪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들 사이에서도 끊임없는 싸움을 하며, 심한 증오를 키우고 있었다. 스노리(Snorre)는 정치인, 행정관으로서 능수능란했고, 웅변가, 스칼드으로서 걸출하였지만, 그의 열정은 하찮았으며, 많은 방식에서 부정직하였다. 그는 야망이 컸고, 탐욕스러웠다. 그는 노르웨이에 자신의 나라를 예속시키려 계획을 세운 첫 번째 아이슬란드인이라고들 하며, 그 연줄로 노르웨이 왕 수하에서 야를(Jarl:
스칸디나비아의 귀족 작위)이 되길 기대했던 모양이다.
(앗!! 매국노였어) 그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조카인 스투를라 쏘르다손(Sturle Thordsson)보다 한 수 아래라는 것을 깨닫고, 조카와 적대적 관계를 맺게 되었다. 스노리(Snorre)는 이 싸움에서 패배했으나, 스투를라(Sturle)가 얼마 지나지 않아 적과의 싸움에서 그의 적과의 전투에서 쓰러지자, 다시 스노리(Snorre)는 희망의 싹을 키우며, 광범위하고 야심찬 계획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그는 1218-1220년 동안 처음 노르웨이에 가 있게 되는데, 하콘(Hakon)왕과 특히 야를 스쿨리(Skule)그때 노르웨이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사람이었다)에게 환대들 받았다. 1237년 스노리(Snorre)는 다시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믿어지는 것처럼, 야를 스쿨리(Skule)와 함께 반역모의에 합류했다. 1239년 그는 하콘왕에게 복종해야 했으나, 왕의 바람에 반하여 다시 노르웨이를 떠나, 왕에게 큰 불만을 사게 되었다. 1240년 하콘(Hakon) 왕은 스쿨리의 반란을 제압하고, 위험한 반대파를 섬멸하였다. 하콘 왕의 선동으로, 아이슬란드의 몇몇 지배자들이 스노리(Snorre)에 대항하여 연합하였고, 레위크볼트(Reykholt)에서 스노리(Snorre)를 살해하였다. 이 사건은 1241년 9월 22일에 일어났고, 그때 스노리(Snorre)는 63살 이었다. 스노리(Snorre)는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뛰어난 스칼드이자 이야기꾼이었다. 그는 역사 기록가로서 헤로도토스(Herodotos)나 투키디데스(Thukydides)와 겨룰 만하다. 그가 쓴 노르웨이 왕의 상세한 역사를 담고 있는 헤임스크링글라는 문명세게 전역에서 유명하며, 에머손(Emerson)은 그 책을 우리 민족의 일리아드 오딧세이(Iliad and Odyssey)라 칭했다.
사무엘 레잉이 1844년 런던에서 이 작품의 영어 번역판을 출판했다. 칼라일의 “초기 노르웨이의 왕(Early Kings of Norway) (런던, 1875)은 헤임스크링글라(Heimskringla)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흐비타스칼드(Hvitaskald)[
3]라는 성이 붙은 올라프 쏘르다르손(Olaf Thordsson)은 - 같은 시대의 올라프 스바르타스칼드(Olaf Svartaskald)[
4]와 구별하기 위함 - 스노리(Snorre)의 형의 아들이다. 그는 삼촌 스노리(Snorre)만큼 저명하거나 영향력이 있지는 않지만, 13세기 전반기 동안, 자신 모국의 모든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1236년 노르웨이를 방문하였고, 같은 해 덴마크에도 갔는데, 발데마르(Valdemar) 왕의 궁정에서 귀빈으로 대접받았고, 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1240년 그는 다시 노르웨이를 방문하였고, 스쿨리(Skule)에 반대하여 하콘 왕의 명분을 지지하였다. 아이슬란드로 돌아와서 4년 동안 그곳의 최고 행정관으로 집무하였고, 1259년 사망하였다. 그는 아이슬란드의 위대한 음유시인 중의 한 명으로 손꼽힌다.
[1] 이 작품의 세 번째 권(Volumn)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2] 케위세르(Keyser)
[3] 하얀 스칼드(White Skald)
[4] 검은 스칼드(Black Skald)
철자가 좀 헷갈려서 정리했다.
우리말 | R.B.Anderson | 일반적 철자 | 고대 노르르어 철자 |
마그누스 올라프손 | Magnus Olafsson | Magnus Olafsson | Magnús Ólafsson |
브리뇰푸르 스베인손 | Brynjulf Sveinsson | Brynjolfur Sveinsson | Brynjólfur Sveinsson |
스노리 스투를루손 | Snorre Sturleson | Snorri Sturluson | Snorri Sturluson |
스베인뵤른 에길손 | Sveinbjorn Egilsson | | Sveinbjörn Egilsson |
스쿨리 | Skule | Skuli | Skúli |
스테판 올라프손 | Stephan Olafsson | Stefan Olafsson | Stefan Ólafsson |
스투를라 쏘르다르손 | Sturle Thordsson | Sturla thordarson. | Sturla Þórðarson |
시그흐바트 | Sighvat | | Sighvatr |
쏘르드 | Thord | | Þórðr |
쏘르모드 토르파손 | Thormod Torfason | Thormodr Torfason | Þormóður Torfason |
쏠레이프 욘슨 | Thorleif Jonsson | Thorleif Jonsson | Thorleif Jonsson |
씽볼스 | Thingvols |
|
|
아르나마그네안 | Arne-Magnæan | Arnamagnæan |
|
아르니 마그누손 | Arne Magnusson | Arni Magnusson | Árni Magnússon |
아릉그림 욘손 | Arngrim Jonsson | Arngrimur Jonsson | Arngrímur Jónsson |
아쉬뉴르 | asynjes | asynjur | ásynjur |
알씽그 | Althing | Althingi, Althing | Alþingi |
에시르 | asas | aesir | æsir |
올라프 스바르타스칼드 | Olaf Svartaskald | Olafr Svartaskald | Óláfr Svartaskáld |
올라프 쏘르다르손 흐비타스칼드 | Olaf Thordsson Hvitaskald | Olaf Thordarson Hvitaskald | Óláfr Þórðarson hvítaskáld |
올레 워름 | Ole Worm | Ole Worm |
|
요하네스 고란손 | Johannes Goransson | | Johannes Göransson |
존 로프트손 | Jon Loptson | | Jón Loftsson |
페테르 요하네스 라센 | Peter Johannes Resen | Peder Hansen Resen | |
하콘 | Hakon | Haakon | Hákon |
헤임스크링글라 | Heimskringla | Heimskringla | Heimskringla |